美中 첫 고위급 협상에 달러 강세·금값 하락

블룸버그 통신은 한국시간 12일 오전 9시 8분 기준으로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 선물이 전장 대비 1.242%, 나스닥 100 선물이 1.638% 각각 상승했다고 보도했다. 다우존스30 산업평균지수 선물 역시 1.016% 오르며 미국 증시에 대한 기대감을 반영했다.
이번 협상은 10일부터 11일까지 이틀간 제네바에서 진행됐다. 미국 측에서는 스콧 베선트 재무장관과 제이미슨 그리어 미 무역대표부(USTR) 대표가 참석했으며, 중국 측에서는 허리펑 국무원 부총리와 리청강 상무부 국제무역담판대표 겸 부부장이 협상단을 이끌었다. 협상 종료 후 베선트 장관은 "매우 중요한 무역 분야에서 미국과 중국이 상당한 진전을 이뤘다"며 낙관적인 평가를 내놓았다. 허 부총리 또한 회담이 "솔직하고 건설적이었으며 실질적인 진전을 이뤘다"고 밝혔으며, 12일 양국이 공동 성명을 발표할 예정이라고 언급했다.
이번 회담의 구체적인 합의 내용은 아직 공개되지 않았지만, 중국 관영 신화통신은 경제·무역 협상을 위한 새로운 협의 메커니즘이 마련됐다고 전했다. 현재 미국은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 시절부터 부과한 중국산 수입품에 대해 145%에 달하는 추가 관세를 유지하고 있으며, 중국도 이에 맞서 미국산 제품에 대해 125% 관세를 적용하고 있다. 따라서 이번 협상에서 이와 같은 고율 관세 해소를 위한 첫 발걸음이 이뤄졌는지 여부에 시장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관세 완화 기대감은 외환시장과 원자재 시장에도 영향을 미쳤다. 달러화 가치는 주요 6개국 통화 대비 달러 가치를 나타내는 달러인덱스가 전날 한때 100.086까지 하락했다가 상승 반전해 0.228포인트 오른 100.567 수준에서 거래되고 있다. 엔/달러 환율 역시 전장 대비 0.310% 상승한 145.82엔 수준을 기록하고 있다.
국제 유가도 상승세를 나타냈다. 뉴욕상업거래소에서 거래된 6월물 서부텍사스산원유(WTI) 선물은 전장보다 0.44% 오른 배럴당 61.29달러, 런던 ICE선물거래소의 6월물 브렌트유 선물은 0.39% 오른 64.16달러에 각각 거래됐다. 이는 세계 경기 둔화 우려와 함께 지속된 무역 불확실성이 완화될 조짐을 보이며 원유 수요 회복 기대가 반영된 결과로 해석된다.

반면, 관세 전쟁으로 인해 그동안 수요가 급증했던 안전자산 금 가격은 하락세를 보였다. 금 현물 가격은 전장 대비 1.18% 내린 온스당 약 3,285달러로 거래되며 긴장 완화 국면을 반영했다.
이번 협상에 대해 웨드부시증권의 댄 아이브스 애널리스트는 "미중 간 보다 큰 협상을 위한 프레임워크가 논의 테이블에 올라온 것"이라며 "현 시점에서 기대할 수 있는 최상의 시나리오"라고 분석했다. 페퍼스톤그룹의 마이클 브라운 선임 전략가는 "투자자들이 미중 협상 전 위험자산 보유를 줄여왔지만, 최악의 상황을 피하면서 다시금 위험자산에 대한 선호가 회복될 수 있다"고 진단했다. 그러나 그는 “구체적인 합의 내용이 공개되기 전까지는 투자자들의 확신이 부족할 것”이라며 “지금은 대답보다는 질문이 많은 상황”이라고 평가했다.
아시아 금융시장도 이번 협상 결과에 긍정적으로 반응하고 있다. 연합인포맥스에 따르면 한국시간 오전 9시 18분 기준, 국내 코스피 지수는 전장 대비 0.47% 상승했고, 일본 닛케이225 평균주가도 0.23% 오르며 동반 강세를 나타냈다. 이는 미중 협상이 글로벌 경기 둔화 우려를 일부 완화시킬 수 있다는 기대감이 반영된 결과로 해석된다.
이번 협상의 실질적인 성과와 향후 양국 간 추가 협상 내용은 공동 성명을 통해 어느 정도 가늠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이며, 이는 금융시장뿐 아니라 글로벌 공급망 재편과 경제 회복 속도에도 영향을 미칠 전망이다.
* 생생뉴스 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