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차, 만연한 불안에… 대책 논의 진행

회의에서는 과충전을 방지하기 위한 방안이 주요 의제로 다뤄졌다. 급속충전기는 PLC 모뎀을 통해 배터리 정보를 수집하고 충전 상태를 제어할 수 있지만, 현재 대부분의 완속충전기는 이러한 기능이 없다. 환경부는 PLC 모뎀을 탑재한 충전기가 화재 예방에 효과적이라고 판단하고, 이를 신규 설치 시 의무화할 계획이다.
또한 지하주차장의 안전성을 높이기 위해 스프링클러 설치를 강화하고 지상 전기차 충전기도 확대하는 방안이 논의됐다. 배터리 제조사 정보를 공개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커지고 있으며, 유럽연합은 이미 2026년부터 이를 의무화할 예정이다.
현재 국내에서는 차량의 기본 정보만 안내되고 있지만, 정부는 전기차 배터리 제조사 정보를 차량 제원에 포함시키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배터리 인증제를 포함한 자동차 관리법 개정안이 2025년 2월 시행될 예정이며, 배터리 제조사 정보 공개 의무화도 논의되고 있다.
정부 관계자는 전기차 화재 예방을 위한 2차 긴급회의를 개최하고, 9월 초까지 '전기차 화재 종합대책'을 발표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 생생뉴스 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